제3회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자의 역할 포럼 마무리 > 교육자료실

본문 바로가기

사이트 내 전체검색


교육자료실

제3회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자의 역할 포럼 마무리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-12-22 14:16 조회1,953회 댓글0건

본문

제3회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자의 역할 포럼 마무리

   국립국어원 교육진흥부장 최용기 박사

 

 □ 포럼 개최 목적

ㅇ 학회, 민간단체가 의견이나 연구 결과를 정부나 입법 기관에 전달할 목적으로 개최

ㅇ 정확한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실천 가능한 방안, 즉 좋은 대안을 제시해야 함

ㅇ 본 포럼을 주최한 기관에 감사, 드리고 특히 주제 발표를 하신 모든 분들께 경의를 표함

 

□ 주제 발표별 대안 정리 (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교육)

 

ㅇ 한국 문화 교육을 통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(최연미 교수 미국)

   - 미국 택사스주 알링턴대학(UTA)의 한국어 강좌와 한국문화 교육 소개 ·

   - 한국어 강좌: 8개 언어 중 1개, 170여 명 등록 예상(2017년 가을 학기)

     (예) 기초 한국어1(3반), 기초 한국어 2반(2반), 중급 1, 중급 2, 고급 1, 기초변역 1, 중급번역2등

      10개 교과 개설 ·

한국문화 교육 강좌: 6회 한국 문화, 1회 한국 문화의 날, 2회 모임 등 (예) 한국 문화 범위: 한국 역사,  한국 인물, 한국 명절, 한국 의식주, 한국 문학, 한국 종교, 한국 대중문화, 한국과 미국의 비교 등

 

ㅇ 중국인 대상의 한국 문화 교육(변유유 교수, 중국)

  - 중국 하남성 정주경공업대학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교육 소개 ·

  - 2004년 한국어과 설립, 2013년 한국어학과 특성화학과 지정

  - 211 프로젝트(1949년 덩샤오핑 추진), 985 프로젝트(1998년 장쩌민 추진)

  - 한국어 교육,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

  - 한국어학과 학생수 증가: 공무원, 회사원, 학원 강사, 개인 창업 목적

  - 교과목 내용: 범용(말하기등/번역, 문학, 문화)

  – 맟춤형(특수 목적)

  - 교재 사용과 개발: 서울대 한국어, 연세 한국어 사용, 기초 한국어는 번역 - 문제점: 문화 교육 시간부족, 교수 수준 점검, 교재 재개발, 인재 양성 등

 

ㅇ 한국어, 단소 교실이 유학생 한국어 공부에 미치는 영향(박희덕 본부장)

   - 단소 교육의 현황: 단소의 특징, 한국인 단소 교육 실태, 유학생 단소 교육 실태

   - 단소 교육의 전망: 한국인 단소 교육의 전망, 유학생과 해외에서 단소 교육의 전망,

   - 유학생 한국어 단소 교실 현황 분석과 향후 과제

 

ㅇ 새 한류 창조 문화 교육, 조이! K-종이 접기 세계화로(노영혜 이사장)

  - 종이 어원: 닥나무 楮, 저피 – 조피 – 조혜 - 종이, 조ㅎ – 조히 – 조이-종이

  - 산 자와 죽은 자의 영혼을 이어주는 것, 인간과 신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

  - 기록의 영사: 유네스코기록유산(훈민정음 등 10건)

  - 종이접기: 민족의 얼과 혼이 담긴 신앙, 지혜로운 생활용품, 즐거운 놀이 문화 등

 

ㅇ 한반도 평화통일과 세계 평화 기원, 고깔 완관 접기(오영재 회장)

  - 1972년 설립, (주) 종이나라의 사명 실현, 1987년부터 종이접기 실천

  - 1989년 사답법인, 2005년 재단법인 종이문화재단 설립

  - 한반도 평화통일과 세계 평화 기원, 소망의 종이배 뛰우기 등

  - 수학, 과학, 예술, 지혜와 평화를 상징, 두뇌 개발(고깔 왕관)등 □ 마무리

  - 한국어 교육의 브랜드 통합(세종학당) 방안 발표 · 이명박 정부 시(교육부 – 이주호, 문화부 –정병국, 교육문화수석 – 박범훈) · 한국어 교육 통합 방안 발표 (국무회의 결과, 세종학당으로 통합, 2016.7.)

  - 국립국어원 예산 증액, 러시아 사할린과 카자흐스탄에 교원 파견(2017년)

  -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(KSL)과 한국어 교재 개발(계속)등

  - 세종학당 재단은 온라인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확대 추진

  -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의 올바른 이해 후에 한국어와 한국 문화 전파

  - 문화의 바탕은 언어, 언어에는 민족 문화가 반영, 한국어를 알아야 한국 문화 교육이 가능

  - 세종학당 54개국 171개, 한글학교 116개국 1918개, 한국교육원 39개등 -한국어교원 자격증 발급 29,세종학당(2012년), 국립한글박물관(2014년), 국입문자박물관(2020년)

  - 재외동포 750만 명, 문화 전도사, 고군분투, 한국어 교육은 한류의 마중물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

Copyright © watk.korean.net. All rights reserved.